현대 사회에서는 정보능력에 따라 부와 권력이 좌우된다고 한다.
인종이나 계층별 정보 능력과 정보 접근성의 불균형에 따라 사회경제적 격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격차는 또다시 대물림되는데 이와 같은 '디지털 디바이드 (Digital Divide)'의 폐해를 줄이기 위하여 정부가 시행하는 저소득층에 대한 컴퓨터 보급은 과연 효과가 있을까?
아래 링크는 '이창양 교수의 경제산책'에 소개된 뉴욕타임스 기사 내용이다.
"Computers at Home: Educational Hope vs. Teenage Reality"(2010.7.9)
이 기사에서 소개된 세 개의 연구는 유사한 결론에 도달하고 있다. 저소득층에 대한 컴퓨터 보급은 교육적으로 거의 아무런 효과(little or no educational benefit)가 없다는 것이다.
시카고대학의 Ofer Malamud 교수팀이 2009년 루마니아에서 행한 연구에 따르면 컴퓨터 구입을 위하여 바우처를 지급받은 (저소득층) 가정의 어린이들은 수학, 영어, 루마니아어 성적이 하락했다는 매우 유의미한 증거를 보였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컴퓨터 작동기술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다는 점이다.
지난 달에 발표된 듀크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도 유사하다. 초고속인터넷서비스의 도입이 학생들의 수학과 읽기능력을 떨어뜨렸는데 특이한 점은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가 주로 저소득층 가정에 국한되어 나타났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은 부모들의 감독이 저소득층 가정에서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 하기 때문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들 가정에서는 컴퓨터가 공부시간을 줄이고 숙제가 아닌 오락에 사용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텍사스주에서 2천만불(약240억원)을 들여 4년간 42개 학교를 대상으로 행한 대규모 실험에서도 나눠준 노트북 컴퓨터를 집으로 가져가는 것이 허용된 학교의 학생들은 쓰기 점수가 낮아졌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떨까' 하는 마음에 '저소득층 컴퓨터 보급'이라는 키워드로 인터넷 기사를 검색해 보았다. 놀랍게도 우리나라 전국의 교육관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디지털 디바이드'를 줄이려는 고민을 가지고 많은 예산을 이미 수년 전부터 쏟아붓고 있었다. 저소득층 가정에 컴퓨터를 무상으로 보급하고 인터넷 통신비를 지원함으로써 학생이 속한 가정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그 고통이 대물림되지 않도록 배려해 온 것이다. 그러한 지원과 배려가 오히려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성적을 떨어뜨려 사회경제적 격차를 더욱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고 말이다.
더욱 아쉬운 것은 이러한 지원책은 그 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분석이나 연구, 실험이 없이 정책 공급자의 상상력와 정의감에 따라 일정에 쫓겨 성급하게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미국이 2000만불을 지출하면서 정책 효과를 분석한다면 우리도 최소한 100만불 정도의 예산이라도 써서 이를 검증해 봐야하지 않을까? (GDP 규모로 볼 때 우리나라는 미국의 17분의 1이다.)
공공기관이 민간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등한히 하여 해결할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직 '트렌드 마인드'가 부족한 탓이며, 아직 우리나라에서 공급자 위주의 주먹구구 정책이 통하는 것은 공공부문이 소비자 선택의 무풍지대에서 안주해 왔기 때문이라는 김난도 교수의 지적도 일리가 있다는 생각이다.
Saturday, 24 July 2010
Saturday, 10 July 2010
월드컵 강팀으로부터 배우는 교훈?
이번 주 7월 10일 토요일자 조선일보 위클리비즈(Weekly BIZ) 섹션에 '당신의 회사, 연전연승하고 싶은가? 월드컵 강팀서 배워라' 라는 글이 실렸다.
이 글의 주장은 이번 2010 월드컵 강팀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네 가지 교훈을 M/E/M/O로 요약하면서 문화적 다양성을 통합(Muticultural)하고, 구성원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고(Enabling Leadership), 자신감 부족과 자만심도 경계하면서(Mentality), 인재간 부서간 소통과 교류를 통해 조직력(Organizational Power)을 키우는 것이 기업경영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일단 영어 조어부터 이상하다. Multicultural이라는 형용사와 세 개의 명사 및 명사구를 병치시켰다. 굳이 만들어 보자면 Multicultural Background 정도로 쓰면 댓구가 되겠다.
그런데, 이 기사의 보다 큰 문제점은 내용 하나하나가 매우 억지스럽다는 것이다. 내용은 그럴 듯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무리하게 꿰맞춘 것이 눈에 선명하게 드러난다. 하나씩 살펴보자.
1. Multicultural?
스페인 팀이 강한 것은 마드리드 출신인 보스케 감독이 문화적 배타성을 극복하고 독일전에서 바르셀로나 출신을 7명이나 선발진으로 중용했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바르셀로나팀 7명(비야, 피케, 푸욜, 이니에스타, 사비, 부스케스, 페드로) 중에서 문화적 배타성이 문제가 되는 카탈루냐 출신은 4명(피케, 푸욜, 사비, 부스케스)에 불과하다. 이 선수들 중에서도 비야는 09/10시즌이 끝나고 이번 월드컵 직전에 발렌시아에서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으므로 엄밀히 바르셀로나 출신이라고 말하기도 애매하다. 또한, 페드로는 토레스의 부진으로 겨우 출전한 것이다.
(참고로 그동안 선수선발에 많은 돈을 쏟아부어왔던 바르셀로나팀은 팀선수 중 이번 월드컵에 14명이 각국의 국가대표로 출전할 만큼 막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 프로팀 중 최다 규모다. 잘 하는 선수들이 많으니 대표팀에서 많이 뛸 수 밖에 없다.)
독일 대표팀도 90년대 말까지와 다르게 2000년대부터 타국가 이주노동자 출신들을 중용했다고 지적했다. 외부인재 수혈로 순혈주의를 극복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독일팀은 '순혈주의'를 고집했던 90년대까지만 세번의 월드컵 우승을 기록했다. 그 이후로도 준우승, 3위로 잘 하긴 했지만 우승은 하지 못 했다.
2. Enabling Leadership?
허정무 감독이나 독일의 뢰프감독은 이네이블링 리더십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했다. 요즘 세상에 일방적인 리더십보다는 이러한 이네이블링 리더십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공감한다.
그러나 이런 내용을 쓸 때에는 뭔가 더 구체적이고 생생한 사례나 통계가 뒷받침되었어야 했다. 뢰프감독의 리더십을 그렇게 평가한 이유는 독일 신문에서 그렇게 평가했기 때문이라는 것 밖에는 없지 않은가?
3. Mentality?
이번 월드컵에서 남미와 아프리카팀의 몰락은 자신감 부족이거나 자만심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탈락에 대해 '지도자의 오만', '사생활 방기' 같은 단어를 씀으로써 논리를 정당화하고 있다.
네덜란드에게 1점차로 석패했던 브라질이 만약 그 경기에서 자책골이 없었고 승리까지 했다면 브라질 둥가 감독은 '스타 선수'를 선발하지 않았던 오만에 빠진 지도자라는 평판 대신 네임밸류에 연연해 하지 않고 실력위주로 선수를 구성한 안목있는 감독이라는 명성을 얻었을 것이다.
4. Organizational Power?
남미의 몰락은 조직력의 부족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끈끈한 조직력은 소통의 산물'이라 '4강팀인 스페인, 네덜란드, 독일 대표팀 선수들은 대부분 자국 리그에서 뛰는 국내파들'이기 때문에 강한 조직력을 보여줬다고 했다. 그렇다면 100% 자국 리그 선수로 구성된 잉글랜드와 이탈리아는 왜 4강은 커녕 8강, 16강에도 못 올라갔는가?
이번 월드컵 출전선수 736명 중에는 잉글랜드리그에 117명, 독일리그에 84명, 이탈리아리그에 80명, 스페인리그에 59명이 소속되어 있다고 한다. 이들 빅리그에 대부분 선수들이 속해 있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1년에 한두 번 만나기도 어려운' 것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대표팀 선수 중 자국리그에 속한 선수는 각각 3, 6, 2, 4명에 불과하다. 이들 리그는 빅리그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루과이는 이탈리아나 잉글랜드보다 좋은 성적인 4위에 올랐다. 2002년 브라질팀은 우승까지 했다. 갖다 붙여도 너무 갖다 붙였다.
월드컵은 16강 이상은 토너먼트다. 의외성이 많은 축구경기 중에서도 토너먼트에서는 예상치 않은 결과가 더 자주 발생한다. 대진 운이나 경기 운도 큰 원인이 될 수 있고, 팀원들의 축구 경기를 대하는 자세나 순간순간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과 개인기, 신체능력이 달라서일 수도 있다. 그만큼 축구경기는 그 결과를 놓고 원인분석이나 성공의 특성을 유형화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나마 설명이 가능한 변수는 신체능력의 대리변수가 될 수 있는 '나이'다. 4강팀의 평균 연령은 스페인 25세, 독일 24세, 우루과이 26세, 네덜란드 27세이다. 중간에 탈락한 브라질, 잉글랜드, 이탈리아는 평균 연령이 28세, 아르헨티나나 프랑스는 27세이다. 그러나 이것도 반대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반박되기 쉽다. 나이가 젊다는 것은 경험이 부족하다는 다른 표현이므로... 아무튼 이렇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근거를 가지고 써야 한다.)
그런데 이 기사는 상황을 너무 입맛에 맞게 꿰맞췄다. M/E/M/O 이렇게 4가지로 기사의 틀을 구성한 후 거기에다가 사실을 무리하게 갖다 붙였다. 이런 유형의 기사는 보다 정확한 팩트와 통계, 그리고 논리적(필요하다면 학문적인) 근거를 통해서 분석하고 연구한 후에 제시되었더라면 훨씬 좋았을 뻔 했다. 그것도 월드컵이 끝난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여러 명이 토론한 결과로 작성되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위클리비즈를 읽는 독자들은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이런 걸 기대한다.
만약 이번 월드컵 4강팀이 유럽팀들 대신 남미나 아프리카팀으로 구성되었다면 이 기사는 다음의 소설과 같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자국리그 소속선수가 많은 이탈리아, 독일, 잉글랜드는 몰락한 반면, 타국 리그에 속해 다른 축구문화를 다양하게 경험한 선수가 많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가나 팀이 강세를 보였다. 이는 현대 축구가 단순한 조직력 대신 개개인의 능력과 팀 전술, 다양한 경험이 조화될 경우에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글의 주장은 이번 2010 월드컵 강팀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네 가지 교훈을 M/E/M/O로 요약하면서 문화적 다양성을 통합(Muticultural)하고, 구성원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고(Enabling Leadership), 자신감 부족과 자만심도 경계하면서(Mentality), 인재간 부서간 소통과 교류를 통해 조직력(Organizational Power)을 키우는 것이 기업경영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일단 영어 조어부터 이상하다. Multicultural이라는 형용사와 세 개의 명사 및 명사구를 병치시켰다. 굳이 만들어 보자면 Multicultural Background 정도로 쓰면 댓구가 되겠다.
그런데, 이 기사의 보다 큰 문제점은 내용 하나하나가 매우 억지스럽다는 것이다. 내용은 그럴 듯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무리하게 꿰맞춘 것이 눈에 선명하게 드러난다. 하나씩 살펴보자.
1. Multicultural?
스페인 팀이 강한 것은 마드리드 출신인 보스케 감독이 문화적 배타성을 극복하고 독일전에서 바르셀로나 출신을 7명이나 선발진으로 중용했기 때문이란다. 하지만, 바르셀로나팀 7명(비야, 피케, 푸욜, 이니에스타, 사비, 부스케스, 페드로) 중에서 문화적 배타성이 문제가 되는 카탈루냐 출신은 4명(피케, 푸욜, 사비, 부스케스)에 불과하다. 이 선수들 중에서도 비야는 09/10시즌이 끝나고 이번 월드컵 직전에 발렌시아에서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으므로 엄밀히 바르셀로나 출신이라고 말하기도 애매하다. 또한, 페드로는 토레스의 부진으로 겨우 출전한 것이다.
(참고로 그동안 선수선발에 많은 돈을 쏟아부어왔던 바르셀로나팀은 팀선수 중 이번 월드컵에 14명이 각국의 국가대표로 출전할 만큼 막강한 전력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 프로팀 중 최다 규모다. 잘 하는 선수들이 많으니 대표팀에서 많이 뛸 수 밖에 없다.)
독일 대표팀도 90년대 말까지와 다르게 2000년대부터 타국가 이주노동자 출신들을 중용했다고 지적했다. 외부인재 수혈로 순혈주의를 극복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독일팀은 '순혈주의'를 고집했던 90년대까지만 세번의 월드컵 우승을 기록했다. 그 이후로도 준우승, 3위로 잘 하긴 했지만 우승은 하지 못 했다.
2. Enabling Leadership?
허정무 감독이나 독일의 뢰프감독은 이네이블링 리더십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했다. 요즘 세상에 일방적인 리더십보다는 이러한 이네이블링 리더십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공감한다.
그러나 이런 내용을 쓸 때에는 뭔가 더 구체적이고 생생한 사례나 통계가 뒷받침되었어야 했다. 뢰프감독의 리더십을 그렇게 평가한 이유는 독일 신문에서 그렇게 평가했기 때문이라는 것 밖에는 없지 않은가?
3. Mentality?
이번 월드컵에서 남미와 아프리카팀의 몰락은 자신감 부족이거나 자만심 때문이라는 것이다. 특히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탈락에 대해 '지도자의 오만', '사생활 방기' 같은 단어를 씀으로써 논리를 정당화하고 있다.
네덜란드에게 1점차로 석패했던 브라질이 만약 그 경기에서 자책골이 없었고 승리까지 했다면 브라질 둥가 감독은 '스타 선수'를 선발하지 않았던 오만에 빠진 지도자라는 평판 대신 네임밸류에 연연해 하지 않고 실력위주로 선수를 구성한 안목있는 감독이라는 명성을 얻었을 것이다.
4. Organizational Power?
남미의 몰락은 조직력의 부족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끈끈한 조직력은 소통의 산물'이라 '4강팀인 스페인, 네덜란드, 독일 대표팀 선수들은 대부분 자국 리그에서 뛰는 국내파들'이기 때문에 강한 조직력을 보여줬다고 했다. 그렇다면 100% 자국 리그 선수로 구성된 잉글랜드와 이탈리아는 왜 4강은 커녕 8강, 16강에도 못 올라갔는가?
이번 월드컵 출전선수 736명 중에는 잉글랜드리그에 117명, 독일리그에 84명, 이탈리아리그에 80명, 스페인리그에 59명이 소속되어 있다고 한다. 이들 빅리그에 대부분 선수들이 속해 있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1년에 한두 번 만나기도 어려운' 것은 당연하지 않겠는가?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대표팀 선수 중 자국리그에 속한 선수는 각각 3, 6, 2, 4명에 불과하다. 이들 리그는 빅리그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루과이는 이탈리아나 잉글랜드보다 좋은 성적인 4위에 올랐다. 2002년 브라질팀은 우승까지 했다. 갖다 붙여도 너무 갖다 붙였다.
월드컵은 16강 이상은 토너먼트다. 의외성이 많은 축구경기 중에서도 토너먼트에서는 예상치 않은 결과가 더 자주 발생한다. 대진 운이나 경기 운도 큰 원인이 될 수 있고, 팀원들의 축구 경기를 대하는 자세나 순간순간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과 개인기, 신체능력이 달라서일 수도 있다. 그만큼 축구경기는 그 결과를 놓고 원인분석이나 성공의 특성을 유형화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나마 설명이 가능한 변수는 신체능력의 대리변수가 될 수 있는 '나이'다. 4강팀의 평균 연령은 스페인 25세, 독일 24세, 우루과이 26세, 네덜란드 27세이다. 중간에 탈락한 브라질, 잉글랜드, 이탈리아는 평균 연령이 28세, 아르헨티나나 프랑스는 27세이다. 그러나 이것도 반대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반박되기 쉽다. 나이가 젊다는 것은 경험이 부족하다는 다른 표현이므로... 아무튼 이렇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근거를 가지고 써야 한다.)
그런데 이 기사는 상황을 너무 입맛에 맞게 꿰맞췄다. M/E/M/O 이렇게 4가지로 기사의 틀을 구성한 후 거기에다가 사실을 무리하게 갖다 붙였다. 이런 유형의 기사는 보다 정확한 팩트와 통계, 그리고 논리적(필요하다면 학문적인) 근거를 통해서 분석하고 연구한 후에 제시되었더라면 훨씬 좋았을 뻔 했다. 그것도 월드컵이 끝난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여러 명이 토론한 결과로 작성되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위클리비즈를 읽는 독자들은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이런 걸 기대한다.
만약 이번 월드컵 4강팀이 유럽팀들 대신 남미나 아프리카팀으로 구성되었다면 이 기사는 다음의 소설과 같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자국리그 소속선수가 많은 이탈리아, 독일, 잉글랜드는 몰락한 반면, 타국 리그에 속해 다른 축구문화를 다양하게 경험한 선수가 많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가나 팀이 강세를 보였다. 이는 현대 축구가 단순한 조직력 대신 개개인의 능력과 팀 전술, 다양한 경험이 조화될 경우에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Saturday, 3 July 2010
카필라노 흔들다리 (Capilano Suspension Bridge)
'스웨이(Sway)' (Ori Brafman & Rom Brafman)라는 책 5장에 소개된 카필라노 현수교 (Capilano Suspension Bridge)에서의 실험 내용은
캐나다 브리티쉬컬럼비아대학의 D.Dutton과 A.Aron의 1974년 논문 'Some evidence for heightened sexual attraction under conditions of high anxiety'를 인용한 것이다.
높은 계곡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는 현수교를 건널 때 생리적으로 느끼는 불안감이 이성에 대한 관심과 연애감정을 유발한다는 게 이 책과 논문의 결론이다. 우리도 잘 모르는 사이에 인간의 심리는 생리현상으로부터 밀접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책의 표현대로라면 나도 뭔가 느꼈어야 하는데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그러한 감정을 느낄 만한 상황은 아니었던 것 같다.
혹시 논문이 발표되었던 1974년 당시에는 '아슬아슬, 짜릿짜릿함'을 느낄 만큼 매우 부실하게 설치되어 있던
캐나다 브리티쉬컬럼비아대학의 D.Dutton과 A.Aron의 1974년 논문 'Some evidence for heightened sexual attraction under conditions of high anxiety'를 인용한 것이다.
높은 계곡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는 현수교를 건널 때 생리적으로 느끼는 불안감이 이성에 대한 관심과 연애감정을 유발한다는 게 이 책과 논문의 결론이다. 우리도 잘 모르는 사이에 인간의 심리는 생리현상으로부터 밀접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너무 기대를 한 탓인지, 이 정도 높이와 길이의 다리를 건넌다고 사랑의 감정이 생기겠는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이와 같은 책의 표현대로라면 나도 뭔가 느꼈어야 하는데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그러한 감정을 느낄 만한 상황은 아니었던 것 같다.
혹시 논문이 발표되었던 1974년 당시에는 '아슬아슬, 짜릿짜릿함'을 느낄 만큼 매우 부실하게 설치되어 있던
Subscribe to:
Posts (Atom)